맨위로가기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은 수원시에서 인천광역시를 거쳐 김포시에 이르는 노선으로, 1994년 국도 제44호선 연장 계획에서 시작되어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과 제44호선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다가, 2001년 제98호선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도로 확장 공사를 거쳤으며, 현재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주요 도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동구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인천 동구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번영로는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제주시 건입동을 잇는 도로로, 제주목사 행차길에서 유래하여 지방도를 거쳐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었고, 제주시와 동부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은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약 187km를 잇는 도로로, 과거 국도 승격 계획이 있었으나 재정 문제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어 1996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충청남도,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이다.
  • 가평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가평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로 종류국가지원지방도
노선 번호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총 연장264.6km
기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주요 경유지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여주시
경기도 양평군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가평군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포천시
경기도 양주시
경기도 파주시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김포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수원시
종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주요 교차 도로경부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지방도 제301호선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13호선
지방도 제315호선
지방도 제321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330호선
지방도 제333호선
지방도 제337호선
지방도 제342호선
지방도 제352호선
지방도 제356호선
지방도 제357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3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지방도 제367호선
지방도 제371호선
지방도 제383호선
지방도 제387호선
지방도 제391호선

2. 역사

1996년 7월 19일, 경기도 용인시에서 양평군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44호선으로 지정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2001년 8월 25일에는 수도권 순환선으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이 신설되면서, 기존의 국가지원지방도 제44호선(용인~양평)과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인천광역시~남양주시) 구간이 흡수 통합되었다.

2. 1. 노선 지정 및 변경

1996년 7월 19일: 경기도 용인시 용인읍 ~ 양평군 양평읍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44호 용인 ~ 양평선'''으로 지정[1]

2001년 8월 25일: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 수도권 순환선''' 신설[2]

개통일구간비고
2006년 7월 24일진접 ~ 대성간 도로 (남양주시 수동면 입석리 ~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 2.37km확장 개통[3]
2008년 1월 10일일산대교 1.84km개통[4]
2008년 5월 16일송포 ~ 인천간 도로 (김포시 걸포동 ~ 운양동) 1.75km개통[5]
2008년 12월 5일광릉숲우회도로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 내촌면 진목리) 7.87km개통[6]
2009년 4월 20일운수 ~ 대성간 도로 (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리 ~ 송천리) 5.44km개통[7]
2010년 8월 19일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 오남읍 양지리 1.04km임시 개통[8]
2012년 8월 24일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 연평리 1.2km개통[9]
2013년 11월 8일남양주시 오남읍 오남리 1.18km개통[10]
2014년 3월 19일김포시 운양동 나진 교차로 ~ 인천시계 1.63km개통[11]
2016년 10월 26일본오 ~ 오목천간 도로 2공구(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 5.4km개통[12]
2021년 2월 5일실촌 ~ 만선간 도로(광주시 곤지암읍 열미리 ~ 오향리) 620m확장 개통[13]
2021년 6월 22일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읍내 관통 구간을 읍내 우회 노선으로 변경[14][15]
2024년 2월 29일오남 ~ 수동간 도로(남양주시 오남읍 오남리 ~ 수동면 지둔리) 8.1km개통


2. 2. 주요 구간 개통


  • 2006년 7월 24일 : 진접 ~ 대성간 도로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입석리 ~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 2.37km 구간 확장 개통[3]
  • 2008년 1월 10일 : 일산대교 1.84km 구간 개통[4]
  • 2008년 5월 16일 : 송포 ~ 인천간 도로 (김포시 걸포동 ~ 운양동) 1.75km 구간 개통[5]
  • 2008년 12월 5일 : 광릉숲우회도로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 내촌면 진목리) 7.87km 구간 개통[6]
  • 2009년 4월 20일 : 운수 ~ 대성간 도로 (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리 ~ 송천리) 5.44km 구간 개통[7]
  • 2010년 8월 19일 : 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 오남읍 양지리 1.04km 구간 임시 개통[8]
  • 2012년 8월 24일 :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 연평리 1.2km 구간 개통[9]
  • 2013년 11월 8일 : 남양주시 오남읍 오남리 1.18km 구간 개통[10]
  • 2014년 3월 19일 : 김포시 운양동 나진 교차로 ~ 인천광역시시계 1.63km 구간 개통[11]
  • 2016년 10월 26일 : 본오 ~ 오목천간 도로 2공구(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 5.4km 구간 개통[12]
  • 2021년 2월 5일 : 실촌 ~ 만선간 도로(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열미리 ~ 오향리) 620m 구간 확장 개통[13]
  • 2024년 2월 29일 : 오남 ~ 수동간 도로(남양주시 오남읍 오남리 ~ 수동면 지둔리) 8.1km 구간 개통[14]

3. 주요 경유지

경기도



인천광역시

  • 서구 (대곡동 - 마전동 - 불로동 - 마전동 - 당하동 - 백석동 - 시천동 - 검암동 - 공촌동 - 연희동 - 심곡동 - 가정동 - 석남동 - 가좌동) - 동구 송림동 - 미추홀구 도화동 - 동구 (송림동 - 송현동 - 화수동 - 만석동) - 중구 (북성동1가 - 송월동2가 - 북성동2가 - 선린동 - 항동 - 사동 - 신생동 - 신흥동) - 미추홀구 (숭의동 - 용현동 - 학익동) - 연수구 (옥련동 - 동춘동) - 남동구 고잔동)


경기도

4. 노선

수원시 팔달구 지동 동수원사거리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노선이다.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다.[16]

아래 표는 소래대교에서 수원시 팔달구 동수원사거리까지 이어지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의 주요 경로를 나타낸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소래대교 시흥시월곶동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소래대교삼거리월곶해안로
월곶입구삼거리서해안로
월곶대교삼거리월곶중앙로
정왕 나들목
(정왕 교차로)
(달월고가차도)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배곧동
동원아파트삼거리배곧3로
봉화로
정왕동
(이름 없음)배곧2로
함송로
서해고교삼거리정왕신길로
옥구고가삼거리
(옥구고가교)
정왕대로
배곧1로
옥구공원옥구공원로
시흥정국궁장산기대학로
조일제지사거리공단1대로
오이도입구 교차로소망공원로
오이도로
환경사업소 교차로지방도 제301호선
(서해안로)
옥구7교옥구천동로
군자1교마유로
정왕7교 안산시단원구
시화공단길 교차로시화로
시흥7교시화로
진흥로
시흥5교지원로
돌안말공원사거리성곡로
첨단로267번길
삼양통상사거리해봉로
기업은행사거리목내로
원시역산단로
(대성하이피)산성로
(대연)시우로
별망고가사거리신안산대학로
해안로
국도 제77호선
(이름 없음)초지로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해안교 
상록구
대우6차아파트해양1로
사리사거리
(호수공원지하차도)
광덕대로
용신로
경기테크노파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명혜학교
 
준공업단지사거리선진로
항가울로
용신3교감골로
(본오지하차도)충장로
해안로
본오 나들목비봉로
(교량 명칭 미상)
(교량 명칭 미상)
 화성시매송면
빈정 교차로야목서길
야목 교차로푸른들판로
현천 교차로매송로
숙곡 나들목국도 제39호선
(서해로)
(지하차도) 
어천 교차로지방도 제313호선
(화성로)
동화천1교 
원평 교차로매봉로
동화천2교 
샘내 나들목비봉매송로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천천지하차도화성로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천천 나들목지방도 제309호선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비봉매송로
(이름 없음)매송고색로422번길봉담읍
오목천삼거리
(오목천지하차도)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효행로)
수원시권선구
오동나무삼거리삼천병마로 
수원여대사거리온정로
삼천병마로1598번길
 
오목천교사거리서수원로 
오목천교
서수원체육공원
  
고색사거리서부로 
고색초등학교  
작은말삼거리고현로 
빙구재삼거리평동로 
중보교  
벌말 교차로세화로 
세평지하차도덕영대로지하차도 내 삼거리
(수원역고가)권선로팔달구 
수원역광장 교차로
(수원역)
국도 제42호선
(덕영대로)
국도 제42호선과 중복
매산사거리갓매산로
매산동 행정복지센터 
도청오거리
(경기도청)
고화로
효원로
여성회관사거리매산로116번길
교동사거리매산로
정조로
중동사거리정조로
향교로
영동사거리수원천로
지동사거리세지로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동수원사거리국도 제1호선
국도 제43호선
(경수대로)
종점
국도 제42호선과 중복


4. 1. 경기도 (수원시 ~ 북한강 이남)

수원시 팔달구 지동 동수원사거리에서 시작하며, 국도 제1호선국도 제43호선(경수대로)과 교차한다. 이 구간은 '''시점'''이며,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된다.[16]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동수원사거리국도 제1호선
국도 제43호선
(경수대로)
수원시팔달구시점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과 중복
인계안골사거리
(동수원병원)
중부대로170번길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과 중복
우만사거리권광로
가산골삼거리중부대로223번길
방아다리삼거리중부대로246번길
아주대삼거리
(아주대시외버스정류장)
아주로영통구
주막거리사거리매여울로
중부대로271번길
법원사거리
수원지방법원
동수원로
관터사거리
(원천동주민센터)
매봉로
중부대로345번길
원천교삼거리동탄원천로
나촌말삼거리중부대로448번길
삼성전자삼거리흥덕1로
삼성삼거리삼성로
영통고가사거리
(영통입구시외버스정류장)
국도 제43호선
(봉영로)
흥덕3로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과 중복
흥덕 나들목과 간접 연결
흥덕입체교차로흥덕4로용인시기흥구국도 제42호선과 중복
영덕 교차로국도 제42호선
(신중부대로)
경희대입구삼거리
(신갈영덕시외버스정류장)
덕영대로
수원신갈 나들목
(수원신갈TG삼거리)
1호선 경부고속도로
신수로
신갈버스정류장삼거리신정로
신갈오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신갈로)
신갈로57번길
신갈로58번길
상갈파출소사거리상갈로
신구로
녹십자사거리구갈로
기흥역로
기흥역사거리기흥로
수원CC사거리기흥역로
강남대삼거리
(강남대역)
(강남대지하차도)
강남로
어정사거리
(어정 교차로)
국도 제42호선
(신중부대로)
어정로
구갈교
고인돌마을사거리
하나로마트사거리중부대로681번길
중부대로684번길
아주냉장삼거리
대우아파트삼거리
진흥아파트입구사거리중부대로746번길
중부대로747번길
수원동(취락마을)삼거리중부대로773번길
쌍용아파트입구삼거리중부대로788번길
상하동인정프린스A사거리중부대로819번길
상하교지방도 제315호선
(사은로)
오뚜기식품삼거리중부대로874번길
용인정신병원삼거리
궁촌 교차로
(서용인 나들목)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42호선
(신중부대로)
동백죽전대로
처인구
삼가삼거리삼가로
삼가역삼거리지삼로
우남아파트입구삼거리금학로
행정타운입구사거리금학로
중부대로1158번길
중부대로1161번길
용인시청삼거리
(용인시청)
(시청·용인대역)
용인대입구삼거리지방도 제321호선
(용인대학로)
지방도 제321호선과 중복
등기소앞사거리지방도 제321호선
(성산로)
중부대로1262번길
명지대입구사거리명지로
중부대로1299번길
역북초교삼거리명지로
삼환아파트삼거리
통일공원삼거리금령로
문예회관입구삼거리중부대로1392번길
처인구청후문사거리중부대로1424번길
금령로56번길
터미널사거리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용인육교)
국도 제45호선
(백옥대로)
용인교
동부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동부로)
중부대로
제일교회사거리금령로
실내체육관사거리금학로
산골말입구사거리한터로
경안천로256번길
서산식당앞 교차로고림로212번길
고림초등학교삼거리한터로152번길
용샘주유소앞
고림교
대웅전기산업입구경안천로256번길
코아루아파트입구삼거리한터로275번길처인구 양지면
음달안교
한터초등학교삼거리한터로571번길
아시아나CC삼거리
정수고개
양대로
추곡교
유정교
광주시도척면
도척 나들목
(도척 교차로)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도척파출소앞지방도 제325호선
(마도로)
지방도 제325호선과 중복
노곡교
갈고개
진우삼거리저수지길
(이름 없음)지방도 제337호선
(국사봉로)
(곤재교 남단)곤지암로곤지암읍
(곤지암제2교)도척윗로
곤지암농협앞곤지암로
곤지암교지방도 제325호선
(경충대로)
대석동길
신대사거리
곤지암사거리경충대로
곤지암로
예계교
곤지암역
곤지암읍 행정복지센터
열미교
열미 교차로열미길
열미 교차로국도 제3호선
(성남이천로)
오향교
동곤지암 나들목52호선 광주원주고속도로
건업교
남이고개rowspan=2|rowspan=2|
여주시산북면
(이름 없음)상품로
상품 교차로지방도 제333호선
(주어로)
(금품1로)
대하품교
하품교
백자교
희망교rowspan=2|rowspan=2|
양평군강상면
대석교
(이름 없음)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세월길)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
세월교
사실고개
(화양2리)지방도 제342호선
(강상로)
매봉재고개
한가틀고개
강상면사무소입구신화길
양근파출소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강남로)
양평대교rowspan=2|rowspan=2|
양평읍
양근삼거리양근로
양평사거리시민로
한빛길
양평군청사거리군청앞길
역전길
양평초등학교
(이름 없음)양근강변길
양근리사거리양근로
양근대교길
양평군민회관
양평실내체육관
양평군보건소
관문삼거리중앙로
상평 교차로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44호선
(경강로)
국도 제37호선과 중복
신애삼거리애곡길
백현사거리고읍로
용천로
옥천면
동촌삼거리신복길
복동삼거리신촌길
중미산삼거리지방도 제352호선
(중미산로)



이후 구간은 미개통 구간을 지나 서종면까지 이어진다.

4. 2. 경기도 (북한강 이북 ~ 김포시)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제1금남교 북단국도 제45호선
(북한강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폭포로)
남양주시화도읍국도 제45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과 중복
금남초등학교
양주CC입구
국도 제45호선과 중복
금남 교차로북한강로
금남 나들목국도 제46호선
(신경춘로)
국도 제45, 46호선과 중복
샛터 교차로경춘로
구운교
가평군청평면
대성3리삼거리은행나무길
대성초등학교
대성리역
(대성리 교차로)
관터마을입구관터길
대성 교차로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남가로)
대성터널
(대성현)
연장 500m
신촌교남양주시수동면
운수 교차로지방도 제387호선
(비룡로)
수동 나들목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운수1교
운수교
지둔 교차로지둔로
(교량 명칭 미상)
수동터널
오남읍
(교량 명칭 미상)
(교량 명칭 미상)
(교량 명칭 미상)
오남터널
오남 교차로지방도 제383호선
(진건오남로)
지방도 제383호선과 중복
양지 교차로양지로
지방도 제383호선
(생태터널)진접읍
동연평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양진로)
연평IC 교차로국도 제47호선
(퇴계원 ~ 진접간 도로)
내곡대교
내곡 교차로금강로
덕내로
밤섬유원지
내각리입구내각1로
내각교
내각사거리금강로1190번길
장현리입구장현로
장현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진건오남로)
봉현로
봉현교
금곡리 교차로해밀예당3로
진접읍 행정복지센터 앞
장현시외버스정류장
장승 교차로금강로1573번길
금강로1576번길
진접중학교
부평1육교부평로
광릉수목원로
부평2육교
부평IC교
부평육교
부평2교
철마 교차로광릉내로
진벌로
팔야리입구금강로1845번길
팔야 교차로국도 제47호선
(진접 ~ 내촌간 도로)
국도 제47호선과 중복
원팔야교
매봉 교차로금강로2018번길포천시내촌면
광릉 교차로매봉길
내촌 나들목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내촌중 교차로내촌로
내촌IC 교차로국도 제47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금강로)
국도 제47호선과 중복
국도 제87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64호선과 중복
고장촌삼거리내진로국도 제87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64호선과 중복
신내촌교
진목교
진목사거리국도 제87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포천로)
내진로
죽엽산터널연장 640m
가산면
신금현사거리정금로256번길
한성교소흘읍
고모1리사거리한성2길
고모 교차로죽엽산로
기도원앞 교차로죽엽산로196번길
초가팔리마을앞응골길
무동1리마을앞
무봉사거리소흘로
이동교리교
부인터사거리국도 제43호선
(호국로)
지방도 제360호선
(부흥로)
국도 제43호선과 중복
부인터입구 교차로호국로323번길
무봉리마을입구거친봉이길
소흘 나들목29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
수내동입구호국로171번길
축석초교입구무란길
축석 교차로광릉수목원로
민락로
백석이고개양주시양주동미개통
중말 교차로(도로명 미정)
광사 교차로국도 제3호선(신평화로)
원학 교차로지방도 제360호선
(부흥로)
지방도 제360호선과 중복
양짓말 교차로
응달말 교차로
마전 교차로부흥로
마전로
장춘 교차로동일로
(마전2교앞)부흥로
양주교
양주시청사거리평화로
양주시청
막은골삼거리외미로
양주향교입구삼거리부흥로1422번길
유양삼거리부흥로1398번길
양주별산대놀이마당
유양초등학교
불곡산입구 교차로백화암길
오산삼거리지방도 제360호선
(부흥로)
방아교백석읍
복지삼거리호명로
큰오미삼거리고릉말로
오산사거리꿈나무로
단촌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39호선
지방도 제371호선
(권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9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71호선과 중복
홍죽 교차로연곡로
홍죽삼거리양주산성로
소사고개
(기산저수지)국가지원지방도 제39호선
지방도 제371호선
(권율로)
안고령1교
중산교
반디캠프
영장2교
파주시광탄면
(이름 없음)지방도 제367호선
(쇠장이길)
지방도 제367호선과 중복
영장삼거리지방도 제367호선
(보광로)
미개통 구간
용미리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혜음로)
파주시광탄면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과 중복
(이름 없음)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혜음로)
서현공원
백마교
조리읍
장곡검문소 교차로국도 제1호선
(통일로)
국도 제1호선과 중복
팔봉1교
봉일천입구봉천로
소곡로
(이름 없음)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63호선
(통일로)
두루봉로
국도 제1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63호선과 중복
봉일천교앞
(봉일천교)
능안로
송비말길
지방도 제363호선과 중복
대원사거리대원로
설문교
고양시일산동구
북고양(설문) 나들목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책향기로
성석삼거리지방도 제363호선
(성현로)
고봉산삼거리중산로
일산서구
중산1단지삼거리
중산2단지사거리탄중로
한뫼공원
중산중앙공원
중산공원삼거리산현로132번길
중산10단지사거리탄중로
일산2동 행정복지센터 삼거리
(일산2동 행정복지센터)
지방도 제356호선
(원일로)
지방도 제356호선과 중복
산들마을사거리지방도 제356호선
(고양대로)
산들5단지사거리일중로
(일산시장)일청로
한뫼초교사거리
(한뫼초등학교)
고양대로632번길
일산지하차도지방도 제356호선
(원일로)
일현로
지방도 제356호선과 중복
일산지하차도사거리지방도 제356호선
지방도 제359호선
(경의로)
대화교삼거리탄중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사거리대산로
고양종합운동장사거리중앙로
대화중학교
고양체육관사거리호수로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한류월드로
대화마을입구삼거리송포로
법곳 나들목지방도 제357호선
(제2자유로)
법곳교
이산포 나들목국도 제77호선
(자유로)
일산대교김포시김포본동유료도로
일산대교요금소


4. 3. 인천광역시

완정사거리에서 원당대로와 교차하며 인천광역시 서구에 진입한다. 백석고가교에서 드림로와 교차하고, 백석고등학교, 백석중학교, 인천백석초등학교를 지난다. 시천교를 건너 검암사거리에서 승학로와 교차하며, 서인천고등학교대인고등학교를 지난다. 서곶길 교차로에서 도요지로와 교차하고, 공촌교를 건넌 후 공촌사거리에서 경명대로와 만난다. 인천 서구청을 지나 연희사거리에서 탁옥로와 교차하고, 인천서부소방서를 지난다. 심곡사거리에서 심곡로와 교차하며, 미개통 구간인 담지로와 교차할 예정이다.

루원 교차로에서 국도 제6호선국도 제77호선 (봉오대로)과 중복된다. 율도입구삼거리에서 율도로와 교차하고, 석남역이 있는 석남제1고가교를 하부 통과한다. 석남진출입로에서 인천대로와 접속하고, 석남제2고가교를 지난다. 가좌 나들목(가좌IC앞 교차로)에서 인천대로, 백범로, 장고개로와 교차하며, 계속해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

동구구민운동장을 지나 미추홀구에 진입하여 인천교삼거리에서 장고개로와 교차하고, 궁현사거리에서 염전로와 교차한다. 인천서화초등학교를 지나 인천대삼거리에서 숙골로와 교차하고, 송림고개를 지난다.

동구에 진입하여 송림삼거리에서 봉수대로, 인중로와 교차하고, 새천년로와 교차하는 지점을 지난다. 송림오거리에서 동산로, 샛골로, 송림로와 교차하고, 서흥초등학교를 지난다. 샛골로, 인중로와 다시 교차하는 지점을 지나 송현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중봉대로), 송현로와 교차한다. 이 구간은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된다. 화수사거리에서 인중로, 제물량로와 교차하고, 인천만석초등학교와 동일방직 인천공장을 지난다. 만석고가교를 지나 중구에 진입하여 송월시장을 지나고, 인천역(인천역사거리)에서 월미로, 차이나타운로51번길과 교차한다. 이 구간은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77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된다.

인천중부경찰서를 지나 중구청입구에서 제물량로218번길과 교차하고, 동인천등기소를 지난다. 신포사거리에서 신포로, 제물량로와 교차하고, 제1부두입구에서 인중로와 교차한다. 사동삼거리에서 우현로와 교차하고, 인천제2국제여객터미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이마트 동인천점을 지난다. 수인사거리에서 서해대로와 교차하고, 신광사거리에서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인중로), 제물량로, 도원로와 교차한다.

능안삼거리에서 인주대로와 교차하며 다시 미추홀구에 진입한다. CJ제일제당 인천1공장과 용현동시외버스정류장을 지나 인천 나들목(인하대병원사거리, 고속종점지하차도)에서 인천대로, 용오로, 인항로, 아암대로45번길과 교차한다. 낙섬사거리에서 매소홀로와 교차하고, 능해 나들목(제2경인시점 교차로, 능해고가교)에서 제2경인고속도로(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축항대로와 접속한다. 정비단지입구삼거리에서 아암대로253번길과 교차하고, 옹암 교차로(옹암지하차도)에서 능허대로, 비류대로, 서해대로94번길과 교차한다.

연수구에 진입하여 옥련 나들목에서 제2경인고속도로와 접속한다. 이곳은 상행 진입이 불가능하고 하행 진출이 불가능하다. 송도3교 교차로에서 아트센터대로, 앵고개로와 교차하고, 송도 나들목에서 제2경인고속도로와 접속한다. 이곳은 상행 진출이 불가능하고 하행 진입이 불가능하다. 동춘지하차도를 지나 외암도사거리(송도지하차도)에서 경원대로, 송도국제대로와 교차한다.

남동구에 진입하여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과 접속하는 지점을 지나는데,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이 불가능하다. 고잔지하차도를 지나 남동대로와 교차하고, 다시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과 접속하는 지점을 지나는데, 이곳 역시 상행 진출과 하행 진입이 불가능하다. 해안지하차도를 지나 호구포로와 교차하고, 다시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과 접속하는 지점을 지나는데,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이 불가능하다.

인천운전면허시험장을 지나 논현고잔로와 교차하고, 아암2교를 건넌다. 논고개로와 교차하는 지점을 지나 소래역사관에서 소래역로와 교차하고, 소래포구를 지난다. 소래대교북단에서 소래로와 교차하는데, 상행 진입과 하행 진출이 불가능하다. 소래대교를 건너며, 이 구간은 국도 제77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된다.

4. 4. 경기도 (시흥시 ~ 수원시)

소래대교에서 시작하여 수원시 팔달구 동수원사거리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소래대교 시흥시월곶동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소래대교삼거리월곶해안로
월곶입구삼거리서해안로
월곶대교삼거리월곶중앙로
정왕 나들목
(정왕 교차로)
(달월고가차도)
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배곧동
동원아파트삼거리배곧3로
봉화로
정왕동
(이름 없음)배곧2로
함송로
서해고교삼거리정왕신길로
옥구고가삼거리
(옥구고가교)
정왕대로
배곧1로
옥구공원옥구공원로
시흥정국궁장산기대학로
조일제지사거리공단1대로
오이도입구 교차로소망공원로
오이도로
환경사업소 교차로지방도 제301호선
(서해안로)
옥구7교옥구천동로
군자1교마유로
정왕7교 안산시단원구
시화공단길 교차로시화로
시흥7교시화로
진흥로
시흥5교지원로
돌안말공원사거리성곡로
첨단로267번길
삼양통상사거리해봉로
기업은행사거리목내로
원시역산단로
(대성하이피)산성로
(대연)시우로
별망고가사거리신안산대학로
해안로
국도 제77호선
(이름 없음)초지로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해안교 
상록구
대우6차아파트해양1로
사리사거리
(호수공원지하차도)
광덕대로
용신로
경기테크노파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명혜학교
 
준공업단지사거리선진로
항가울로
용신3교감골로
(본오지하차도)충장로
해안로
본오 나들목비봉로
(교량 명칭 미상)
(교량 명칭 미상)
 화성시매송면
빈정 교차로야목서길
야목 교차로푸른들판로
현천 교차로매송로
숙곡 나들목국도 제39호선
(서해로)
(지하차도) 
어천 교차로지방도 제313호선
(화성로)
동화천1교 
원평 교차로매봉로
동화천2교 
샘내 나들목비봉매송로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천천지하차도화성로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과 중복
천천 나들목지방도 제309호선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비봉매송로
(이름 없음)매송고색로422번길봉담읍
오목천삼거리
(오목천지하차도)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효행로)
수원시권선구
오동나무삼거리삼천병마로 
수원여대사거리온정로
삼천병마로1598번길
 
오목천교사거리서수원로 
오목천교
서수원체육공원
  
고색사거리서부로 
고색초등학교  
작은말삼거리고현로 
빙구재삼거리평동로 
중보교  
벌말 교차로세화로 
세평지하차도덕영대로지하차도 내 삼거리
(수원역고가)권선로팔달구 
수원역광장 교차로
(수원역)
국도 제42호선
(덕영대로)
국도 제42호선과 중복
매산사거리갓매산로
매산동 행정복지센터 
도청오거리
(경기도청)
고화로
효원로
여성회관사거리매산로116번길
교동사거리매산로
정조로
중동사거리정조로
향교로
영동사거리수원천로
지동사거리세지로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동수원사거리국도 제1호선
국도 제43호선
(경수대로)
종점
국도 제42호선과 중복



5. 도로명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은 여러 시와 군을 지나면서 다양한 도로명을 가지고 있다.

지역구간도로명
경기도수원시 팔달구 동수원사거리 ~ 용인시 처인구 동부사거리 | 중부대로
용인시 처인구 동부사거리 ~ 산골말입구사거리 | 고림로
용인시 처인구 산골말입구사거리 ~ 양지면 정수리 | 한터로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 ~ 곤지암읍 (곤재교 남단) | 도척로
광주시 곤지암읍 (곤재교 남단) ~ 곤지암사거리 | 곤지암로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사거리 ~ 여주시 산북면 희망교 | 광여로
양평군 강상면 희망교 ~ 양근파출소 | 강남로
양평군 강상면 양근파출소 ~ 양평읍 양근삼거리 | 양평대교길
양평군 양평읍 양근삼거리 ~ 양근리사거리 | 양근로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사거리 ~ 옥천면 중미산삼거리 | 마유산로
양평군 서종면 노문삼거리 ~ (수입교 북단) | 화서로
양평군 서종면 (수입교 북단) ~ 문호리 | 북한강로
남양주시 화도읍 제1금남교 북단 ~ 금남 교차로 | 북한강로
남양주시 화도읍 샛터 교차로 ~ 가평군 청평면 대성 교차로 | 경춘로
가평군 청평면 대성 교차로 ~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대교 서단 | 남가로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대교 서단 ~ 포천시 내촌면 내촌육교 | 금강로
포천시 내촌면 내촌육교 ~ 진목사거리 | 포천로
포천시 내촌면 진목사거리 ~ 소흘읍 부인터사거리 | 부흥로
포천시 소흘읍 부인터사거리 ~ 축석 교차로 | 호국로
양주시 양주동 중말 교차로 ~ 원학 교차로 | 광사로
양주시 양주동 원학 교차로 ~ 마전 교차로 | 부흥로
양주시 양주동 마전 교차로 ~ 장춘 교차로 | 미정
양주시 양주동 장춘 교차로 ~ 마전2교 | 동일로
양주시 양주동 마전2교 ~ 백석읍 오산삼거리 | 부흥로
양주시 백석읍 오산삼거리 ~ 단촌삼거리 | 중앙로
양주시 백석읍 단촌삼거리 ~ (기산저수지) | 권율로
양주시 백석읍 (기산저수지) ~ 파주시 광탄면 영장삼거리 | 기산로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 (연대앞) | 혜음로
파주시 광탄면 (연대앞) ~ 조리읍 장곡검문소 교차로 | 명봉산로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삼거리 ~ 일산서구 산들마을사거리 | 고봉로
고양시 일산서구 산들마을사거리 ~ 일산대교 | 고양대로
김포시 김포본동 일산대교 ~ 감정동 시계 | 도로명 미정(송포 ~ 인천간 도로)
시흥시 월곶동 소래대교 ~ 월곶입구삼거리 | 소래로
시흥시 월곶동 월곶입구삼거리 ~ 정왕동 환경사업소 교차로 | 서해안로
시흥시 정왕동 환경사업소 교차로 ~ 정왕7교 | 공단2대로
안산시 단원구 정왕7교 ~ (대연) | 별망로
안산시 단원구 (대연) ~ 별망고가사거리 | 시우로
안산시 단원구 별망고가사거리 ~ 상록구 (본오지하차도) | 해안로
안산시 상록구 (본오지하차도) ~ 본오 나들목 | 비봉로
안산시 상록구 본오 교차로 ~ 화성시 매송면 어천 교차로 | 본오매송로
화성시 매송면 어천 교차로 ~ 수원시 권선구 세평지하차도 | 매송고색로
수원시 권선구 세평지하차도 ~ 팔달구 수원역 | 덕영대로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 ~ 교동사거리 | 매산로
수원시 팔달구 교동사거리 ~ 중동사거리 | 정조로
수원시 팔달구 중동사거리 ~ 동수원사거리 | 중부대로
인천광역시서구 검단동 ~ 루원 교차로 | 서곶로
서구 루원 교차로 ~ 가좌IC앞 교차로 | 가남로
서구 가좌IC앞 교차로 ~ 미추홀구 인천교삼거리 | 장고개로
미추홀구 인천교삼거리 ~ 동구 송림오거리 | 송림로
동구 송림오거리 ~ (서흥초등학교입구) | 샛골로
동구 (서흥초등학교입구) ~ 화수사거리 | 인중로
동구 화수사거리 ~ 중구 신포사거리 | 제물량로
중구 신포사거리 ~ (제1부두입구) | 신포로
중구 (제1부두입구) ~ 신광사거리 | 인중로
중구 신광사거리 ~ 미추홀구 능안삼거리 | 제물량로
미추홀구 능안삼거리 ~ 남동구 (소래대교북단) | 아암대로
남동구 (소래대교북단) ~ 소래대교 | 소래로


5. 1. 경기도 (수원시 ~ 북한강 이남)

경기도 구간은 크게 북한강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으로 나뉜다. 이 문단에서는 북한강 이남 지역인 수원시에서 양평군 서종면까지의 구간을 설명한다.

구간구간 상세
수원시팔달구 동수원사거리 ~ 용인시 처인구 동부사거리 : 중부대로
용인시
광주시
양평군


5. 2. 경기도 (북한강 이북 ~ 김포시)

남양주시 화도읍 제1금남교 북단에서 금남 교차로까지는 북한강로와 중복된다. 남양주시 화도읍 샛터 교차로에서 가평군 청평면 대성 교차로까지는 경춘로와 겹친다. 가평군 청평면 대성 교차로에서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대교 서단까지는 남가로를 지난다.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대교 서단에서 포천시 내촌면 내촌육교까지는 금강로와 중복된다.

포천시 내촌면 내촌육교에서 진목사거리까지는 포천로와 겹치며, 진목사거리에서 소흘읍 부인터사거리까지는 부흥로를 거친다. 포천시 소흘읍 부인터사거리에서 축석 교차로까지는 호국로와 중복된다.

양주시에서는 여러 구간을 지나는데, 양주동 중말 교차로에서 원학 교차로까지는 광사로를, 원학 교차로에서 마전 교차로까지는 부흥로를 거친다. 마전 교차로에서 장춘 교차로까지 구간은 아직 미정이다. 장춘 교차로에서 마전2교까지는 동일로와 겹치고, 마전2교에서 백석읍 오산삼거리까지는 부흥로를 이용한다. 양주시 백석읍 오산삼거리에서 단촌삼거리까지는 중앙로와 중복되며, 단촌삼거리에서 기산저수지까지는 권율로를 지난다. 기산저수지에서 파주시 광탄면 영장삼거리까지는 기산로가 이어진다.

파주시 구간은 광탄면 용미리에서 연대앞까지 혜음로를 지나고, 연대앞에서 조리읍 장곡검문소 교차로까지 명봉산로를 거친다.

고양시 구간은 일산동구 성석삼거리에서 일산서구 산들마을사거리까지 고봉로를 지나고, 산들마을사거리에서 일산대교까지 고양대로를 지난다.

김포시 김포본동에서는 일산대교에서 감정동 시계까지 도로명 미정인 송포~인천 간 도로 구간을 지난다.

5. 3. 인천광역시

5. 4. 경기도 (시흥시 ~ 수원시)

시흥시 월곶동 소래대교에서 시작하여 월곶입구삼거리까지 소래로를 이용한다. 월곶입구삼거리에서 환경사업소 교차로까지는 서해안로를, 환경사업소 교차로에서 정왕7교까지는 공단2대로를 따라간다. 안산시 단원구에 진입하여 정왕7교에서 대연까지는 별망로를, 대연에서 별망고가사거리까지는 시우로를 이용한다. 별망고가사거리에서 상록구 본오지하차도까지는 해안로를, 본오지하차도에서 본오 나들목까지는 비봉로를 따라간다. 본오 교차로에서 화성시 매송면 어천 교차로까지는 본오매송로를 이용한다. 어천 교차로에서 수원시 권선구 세평지하차도까지는 매송고색로를 따라간다. 세평지하차도에서 팔달구 수원역까지는 덕영대로를, 수원역에서 교동사거리까지는 매산로를 이용한다. 교동사거리에서 중동사거리까지는 정조로를, 중동사거리에서 동수원사거리까지는 중부대로를 따라가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의 경기도 구간(시흥시~수원시)이 끝난다.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2] 법령 대통령령 제17349호 공포,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3] 공고 경기도제2청 공고 제2006-5181호 http://www.gg.go.kr/[...] 2006-07-24
[4] 공고 경기도공고 제2008-19호 http://www.gg.go.kr/[...] 2008-01-14
[5] 공고 경기도공고 제2008-454호 http://www.gg.go.kr/[...] 2008-05-19
[6] 공고 경기도제2청공고 제2008-5275호 http://www.gg.go.kr/[...] 2008-12-05
[7] 공고 경기도제2청공고 제2009-5059호 http://www.gg.go.kr/[...] 2009-04-24
[8] 공고 경기도공고 제2010-944호 http://www.gg.go.kr/[...] 2010-08-16
[9] 공고 경기도공고 제2012-5526호 http://www.gg.go.kr/[...] 2012-08-27
[10] 공고 경기도공고 제2013-5700호 http://www.gg.go.kr/[...] 2013-11-08
[11] 공고 경기도공고 제2014-5183호 http://www.gg.go.kr/[...] 2014-03-19
[12] 공고 경기도공고 제2016-5854호 http://www.gg.go.kr/[...] 2016-10-26
[13] 공고 경기도공고 제2021-5111호 https://www.gg.go.kr[...] 2021-02-05
[14] 고시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77호 https://gwanbo.go.kr[...] 2021-06-22
[15] 뉴스 지자체 도로 → 일반국도ㆍ국가지원지방도 승격 안전하고 편리한 간선도로망 구축으로 교통편의 높인다 https://www.molit.go[...] 국토교통부 2021-05-12
[16]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